본문 바로가기
안전관리제도

안전관리제도(안전인증)이란?

by tella 2021. 4. 4.
반응형

최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지고 국가의 관리도 엄격해짐에 따라 안전인증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더 대두되고 있다. 소비자들도 물건을 구매할 때 인증을 받은 제품인지, 안전한 제품인지를 우선 따지게 되었고 사업자들도 연태까지 잘 팔던 물건에 대해 갑자기 날아오는 국가의 행정처분에 놀라 부랴부랴 인증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 추세이다. 이에 따라 대형 유통업체들의 경각심도 높아져 납품업체들에게 인증을 요구함에 따라 사업자들의 품질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.

 

  • 안전관리제도(안전인증)이란 무엇인가?

우리가 제품에 대한 안전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'안전인증'이라는 것은 사실 종류가 굉장히 많다. 슈퍼, 백화점, 대형업체에 가보면 쉽게 볼 수 있는 '공산품(현재는 생활용품으로 바뀌었다)'이라는 단어부터 냉장고, 전자레인지 등 전자기기, 음식과 식품용기에 대한 것, 화장품 등 지켜야 할 규정은 많아 일일이 나열하기도 어려우며 법령도 다양하다. 이것들은 모두 정확한 정의로는 '인증'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국내 해당 제품을 유통하기 위해 제조사 또는 수입자가 지켜야 하는 '안전'에 관한 규정은 맞다. 

 

  • 어떤 종류가 있는가?
반응형

화장품, 식품, 의약품 등 인체에 직접 바르거나 섭취하는 것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리품목이다. 또 기후, 화학물질,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 등은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품목이다. 또 흔히 널리 알려진 전기용품, 생활용품 외 에너지, 산업 등에 대한 것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관리하고 있다. 그 외에도 전파법, 교통품, 식품, 의약품 등 인체에 직접 바르거나 섭취하는 것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 안전처 관리품목이다. 또 기후, 화학물질,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 등은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품목이다. 또 흔히 널리 알려진 전기용품, 생활용품 외 에너지, 산업 등에 대한 것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관리하고 있다. 이 외에도 전파, 통신, 과학기술에 대한 것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농산물에 대한 것은 농립 축산 식품부에 관리하고 있으며 제품이 아닌 정보, 특허 등에 대해서도 수많은 규정이 존재한다. 

 

  • 어떤 인증을 받아야 하나?

우선 내가 판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. 제품 1개만 팔고 말것이라면  상관없지만 여러 품목, 사업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, 또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면 여러 산업분야의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. 그렇지만 우리는 시간이 없다. 알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 

  1.  대행업체 이용 - 인증 절차가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대행해주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. 일정의 수수료를 받고 제품에 대한 인증제도 안내부터 신청까지 대행해준다.
  2. 1381 인증표준콜센터 - 대행업체 이용 수수료가 부담스럽다면 1381 인증표준콜센터를 이용하면 된다. 국번 없이 1381을 누르면 인증표준콜센터로 연결되며 이곳에서는 전문적인 상담은 어렵지만 인증 종류와 품목 등 간단한 상담이 가능하며 전문가와 상담이 가능하게 안내를 해준다.
  • 참고사이트

아무리 전문가들이 알려준다고 해도 내가 취급하고자 하는 품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있으면 좋다.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대해 파악하고 해당 부처들의 정책을 알아보는 것도 사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. 각 부처의 사이트에 들어가면 법령이 나와있다. 그 법령에 들어가 법령 제목만 봐도 대충 제품에 대한 법령인지 알 수 있다. 사업아이템을 찾는 경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. 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C%80%ED%95%9C%EB%AF%BC%EA%B5%AD%EC%9D%98_%EC%A4%91%EC%95%99%ED%96%89%EC%A0%95%EA%B8%B0%EA%B4%80

 

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(中央行政機關) 또는 대한민국 행정부는 대한민국 입법부와 대한민국 사법부와 함께 대한민국 정부를 구성한다. 대한민국 행정부는

ko.wikipedia.org

 

반응형

댓글